외교부 '복합외교' 추진 방향에 주력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외교통상부가 외교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기 위한 ‘복합외교’그림 그리기에 주력하고 있다.

외교부는 13일 오전 서울 도렴동 청사에서 김상배 서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초청해 ‘복합외교,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특별강연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과장급 간부 30여 명이 참석해 김 교수의 강연을 들었다.

김 교수는 외교정책에서 행위자, 활동공간, 이슈영역, 권력게임 등 4가지 요소를 설명하고 외교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프레임 짜기(문제제기) → 맺고 끊기(끼어들기) → 내편 모으기(등록하기) → 표준 세우기(동원하기) 등의 4단계를 제시했다.

또 인적 관계를 핵심으로 하는 ‘소프트외교’와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을 활용하는 온ㆍ오프라인의 복합을 강조했다.

외교부가 이달 들어 ‘복합외교’에 대한 강연회를 개최하기는 지난 2일 실ㆍ국장 대상 강연에 이어 두번째다.

김성환 외교부 장관이 지난해 10월 취임한 뒤 천명한 ‘복합외교’를 직원들이 업무에 적용할 구체적 전략을 수립하는 차원이라는 게 외교부의 설명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복합외교를 국가별, 현안별로 어떻게 적용할지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면서 “복합외교가 한국 외교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