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40억달러 '유엔 조달시장'공략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5-23 09: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한해 140억달러에 달하는 유엔 조달시장 점유율이 최근 수년새 떨어지고, 국내 기업들이 제대로 공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2005년 0.28%였던 우리나라의 유엔 조달시장 점유율은 2006년 0.35%, 2007년 0.51%로 오르는 듯 했지만 2008년 0.24%, 2009년 0.34%로 다시 떨어졌다.

유엔 조달시장은 유엔 본부와 40여개 산하기구가 인도적 지원, 평화유지 및 기술협력 등의 업무수행을 위해 매년 전 세계 기업들로부터 물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시장을 말한다.

2009년 유엔 조달시장 규모는 138억달러로 음식·의약품·의료장비·차량·통신장비·정보기술(IT) 장비·주택·상수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우리나라는 유엔에 대한 기여도나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비춰볼 때 유엔 조달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미미하다는 지적이 많다.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임기를 시작한데다 2010년∼2012년 유엔 예산분담률은 세계 11위인 2.26%에 달한다.

세계 GDP(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5%를 넘지만, 2009년 유엔 조달시장 점유율은 고작 0.34%에 지난지 않는다. 또 유엔조달본부에 등록된 기업도 59곳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이 유엔 조달시장을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물론 영어로 작성해야 하는 까다로운 공급업체 등록 절차나, 입찰 공고부터 계약까지 약 1년이 소요되는 비교적 느린 절차 진행 때문에 국내 기업들의 유엔 조달시장 접근이 쉽지 않은 것만은 사실이다.

그러나 일단 계약을 맺으면 최장 5년6개월까지 계약을 연장할 수 있고, 보장되는 이윤율도 20% 안팎에 달한다.

또한, 일단 유엔 조달시장 진출에 성공하면 그 공신력으로 인해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등 다른 국제기구나 미국, 유럽연합(EU) 등의 정부 조달시장 진출에 큰 힘이 될 수 있다.

이시형 외교통상부 통상교섭조정관은 “한ㆍ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로 거대한 유럽 조달시장 등이 열리는 만큼 국내기업도 유엔 조달시장 진출을 더욱 적극적으로 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