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이홍근(가선거구·민주당) 화성시의원에 따르면 악성 재정난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시가 생폐 수집 운반과 관련, 민간대행사업을 시행하면서도 지도감독 소홀 등으로 시민들의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또 시 환경자원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시 예산 수립 및 지출 근거로 활용되는 생폐 수집 운반 원가분석 자료가 상당부분 부풀러져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시는 2011년 기준으로 생활폐기물 8만5055t을 수집·운반키 위해 예산 114억1800만원을 수립, 5개의 민간업체와 용역계약을 체결·운영 중"이라고 했다.
또한 이 의원이 직접 원가분석 자료와 정산내역을 분석한 결과 "원가구성 항목으로 분류된 간접노무비의 경우 실제 업체가 운영하고 있는지를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법에서 정한 최대 요율인 15%를 적용 시가 지출하고 있다"면서 "관리감독이 안된 상태에서 지나치게 과다하게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계약상에는 읍·면·동 중심지역의 경우 매일, 외곽지역은 격일 수거로 돼 있으나 실제로는 업체가 격일, 외곽지역은 주 1회 수거하고 있다"면서 "이같은 상황을 볼때 업체가 계약을 위반한 것은 물론 현실 상황을 고려치 않은 채 과도한 용역계약이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또 이 의원은 "내구연한이 10년 내외된 청소차량을 시가 6년으로 산정, 감가상각비를 적용했다"며 "여기 감가상각비용에 일반관리비 5%와 이윤 10%까지 별도 추가하고 6년된 차량의 중고값을 새차 가격의 10%로 설정하는 등 도대체 이해할 수 없는 정산지출 항목을 발견했다"고 했다.
한편 이 의원은 업무와 관련 없는 업체 차량의 수리비 및 각종 세금을 시가 정산한 사실도 확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