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와 건국대, 경기대, 광운대, 상명대, 전남대, 중앙대, 한양대, 홍익대 등 10여개 대학 총학생회장과의 등록금 완화 정책 관련 간담회를 통해서다.
박성준 건국대 총학생회장은 이 자리에서 “장학금 등의 방법을 등록금을 돌려줄 경우 실제 반값이 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강원대 유기섭 회장도 “우리가 원하는 건 고지서에 나오는 금액이 반으로 줄어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경기대 박민호 회장은 김성식 당 정책위 부의장이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장학금 수혜 대상을 ‘평균 B학점 이상’으로 한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자 “일정 학점 이상 학생에게만 장학금을 준다면 아르바이트로 등록금을 벌어야 하는 학생의 부담이 가중된다”고 지적했다.
광운대 안상진 회장도 “방학 동안 400만∼600만원의 등록금을 벌 수 있다면 그 사람은 공부가 아니라 돈을 벌어야 할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안 회장은 취업후 상환 학자금제인 ‘든든학자금제(ICL)’와 관련해 “어려운 학생을 위해 ICL을 만들었다고 하지만 이자가 무서워서 대출을 받을 수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아울러 상명대 신호규 회장은 “등록금 정책이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민심을 얻기 위한 게 아니냐”고 꼬집었
이에 대해 황 원내대표는 “명목 등록금 자체가 높아 이를 조정해야 한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인 것 같다”며 “우린 명목 등록금과 장학제도, 대학의 질 관리를 모두 문제시하는 ‘세 트랙’으로 논의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등록금 문제로 젊은이들이 겪는 어려움을 잘 알고, 취업 후 상환 학자금 제도가 학생들을 신용 불량자를 만든다는 말도 듣고 있다”며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게 정치인의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