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박재완 장관 "국민들이 경제회복의 온기를 실질적으로 체감토록 하겠다"

  • 취임식서 "거시지표와 체감경기 격차 줄이겠다"고 밝혀<br/>물가안정을 최우선 과제로…'고용유인형' 세제·금융·예산 마련<br/>외화·재정건전성 높이고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으로 경제체질 개선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경제회복의 온기가 국민의 장바구니와 가계부, 보금자리 그리고 일터와 배움터로 실질적으로 퍼져나가도록 하겠다.”

박재완 신임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정부과천청사 지하대강당에서 취임을 갖고“위기가 지나면서 성장과 분배 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서민 살림살이는 오히려 더 어려워졌다는 목소리가 높다”며 “명성과 실상, 겉과 속, 거시지표와 체감경기가 부합하는 선진경제를 만들겠다”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무엇보다 서민생활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물가 안정과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다.

박 장관은 “물가상승 압력을 낮추기 위해 시장친화적이면서도 창의적인 대안을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며 “담합 등 불공정행위를 바로 잡고 정보 공개와 규제개혁, 경쟁 촉진, 유통구조 개선 등 구조적인 문제도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고리가 복원되도록 세제·금융·예산·조달제도를 ‘고용유인형’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그는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함께 높이고 인력수급 미스매치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도 내실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계기업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하고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가계부채 등 금융시장의 잠재적 불안요인을 연착륙시키는 등 경제체질 개선을 위한 노력도 잊지 않았다.

또 급격한 자본이동에 대비해 외환건전성을 높이고 재정건전성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정부와 공기업 살림을 더 알뜰하게 꾸려서 국민부담은 낮추고 민간 활력을 북돋워야 한다”며 “‘공동목초지 비극’을 막기 위해 나라 곳간의 파수꾼 노릇을 충실히 하겠다”고 언급했다.

윤증현 전 장관이 이임식에서 ‘주술’로 표현했던 ‘복지 포퓰리즘’에 대해서는 여전히 같은 인식을 내비쳤다.

그는 “미래세대에 빚을 떠넘기지 않는 가시밭길을 떳떳하게 선택하자”고 당부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에 대해서는 “서로의 생존에 필요한, 불가피한 필수 전략”이라며 “높은 길을 촉진하는 필요 최소의 제도적 장치가 보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복지 패러다임 정립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박 장관은 “일하는 복지를 기조로 지속 가능하면서도 꼭 필요한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산업 선진화는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문제로 의료·교육·관광산업의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장관은 “서비스산업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낡은 규제를 없애는 등 성장구조의 DNA를 바꿔야 한다”며 “녹색기술과 첨단융합산업 등 미래 먹을거리를 일구는데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