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항법 위치추적 기술을 활용해 재난 피해를 최소화해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겠다는 것으로 아직까지는 미국이 주도하고 있다.
3일 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위성기반 위치추적기술개발 과제는 기초기술연구회가 기획한 기획연구(NAP)과제로 지난해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올해 2차년도 사업을 진행 중이다.
총 6차년도 사업일정으로 2015년께 사업이 종료된다.
항공기·자동차·선박 운항 등에 필수적인 위치 정보기술은 이제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위성 기반의 위치추적 기술은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재난 발생 때 국가와 사회적 손실을 줄이는 게 목표다.
항우연은 총괄주관기관으로 위성기반 위치추적 시스템통합(SI)·교통 인프라 구축 기술을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는 해양연구원·서울대·건국대 등이 참여하고 있다.
위성기반 위치추적 기술은 세부적으로 6개 과제로 진행된다.
이 가운데 애플리케이션 부분에서 우리나라가 선진국보다 앞선 부분은 교통인프라 기술이다.
예를 들면, 위험물을 탑재하고 달리는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거나 전복사고가 발생한 경우 바로 알람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차로를 구분할 수 있는 정도로 정밀한 위치추적기술이다.
이 기술은 항공기나 저궤도 위성에서 적용하기는 쉬우나 건물이 밀집한 도시나 숲에서는 위치추적이 어렵다.
전 세계적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해양연은 먼 바다에 부표에 안테나를 설치해서 쓰나미 발생을 인지하는 기술을 6년 뒤 완료한다는 목표다.
서울대는 기준국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멀어졌을 때 이를 극복하는 기술을, 건국대는 화재 발생시 건물안에 진입한 소방관의 위치결정에 대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항우연 관계자는 “우리 생활 깊숙이 파고든 ‘위성을 이용한 위치 추적기술’은 아쉽게도 주로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며 “현재 연구 중인 위치추적 기술은 선진국보다 앞선 것으로 재난사고 예방은 물론 국민안전 제고에도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