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의 하이닉스 인수 포기를 선언한 것에 대한 재계 관계자의 평가이다. 그의 말처럼 하이닉스 인수전은 현대가 재건의 완결판으로 불렸다.
하이닉스의 전신은 현대전자로,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직접 세운 기업이다. 현대전자는 1999년 LG반도체를 인수하고, 같은 해 현대반도체와 합병했다. 이후 2001년 사명을 하이닉스로 변경했다. 하지만 현대그룹이 자금난을 겪는 과정에서 채권단으로 넘어갔다.
특히 올해는 정 명예회장의 10주기이다. 때문에 현대중공업의 하이닉스 인수전 참여 명분은 어느 때보다 분명해 보였다.
실제 범현대가는 이미 현대오일뱅크, 현대종합상사, 현대건설 등 현대그룹 계열사들을 되찾았다. 범현대가로서는 하이닉스가 인수로 ‘현대가 재건 프로젝트’의 대미를 장식할 수 있다.
그럼에 불구하고 현대중공업의 최종 선택은 하이닉스 포기였다. 막대한 투자금과 시너지 효과 미비, 경기 불확실성 등이 현대중공업의 이번 선택을 이끌어 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은 현금성 자산은 약 3조원에 달한다. 계열사까지 포함하면 10조원에 육박한다”며 “하이닉스 인수 여력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반도체 경기가 불투명하기 때문에 하이닉스 인수 이후가 더욱 문제”라며 “반도체 산업이 불황에 접어들면 현대중공업마저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현대중공업은 범현대가 재건의 명분보다는 사업적인 이득을 따진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