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가 명분을 이기다"…현대重, 하이닉스 인수 포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06 11:0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병용 기자) "고토 회복이라는 명분보다는 현실적 이득을 취했다."

현대중공업의 하이닉스 인수 포기를 선언한 것에 대한 재계 관계자의 평가이다. 그의 말처럼 하이닉스 인수전은 현대가 재건의 완결판으로 불렸다.

하이닉스의 전신은 현대전자로,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직접 세운 기업이다. 현대전자는 1999년 LG반도체를 인수하고, 같은 해 현대반도체와 합병했다. 이후 2001년 사명을 하이닉스로 변경했다. 하지만 현대그룹이 자금난을 겪는 과정에서 채권단으로 넘어갔다.

특히 올해는 정 명예회장의 10주기이다. 때문에 현대중공업의 하이닉스 인수전 참여 명분은 어느 때보다 분명해 보였다.

실제 범현대가는 이미 현대오일뱅크, 현대종합상사, 현대건설 등 현대그룹 계열사들을 되찾았다. 범현대가로서는 하이닉스가 인수로 ‘현대가 재건 프로젝트’의 대미를 장식할 수 있다.

그럼에 불구하고 현대중공업의 최종 선택은 하이닉스 포기였다. 막대한 투자금과 시너지 효과 미비, 경기 불확실성 등이 현대중공업의 이번 선택을 이끌어 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은 현금성 자산은 약 3조원에 달한다. 계열사까지 포함하면 10조원에 육박한다”며 “하이닉스 인수 여력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반도체 경기가 불투명하기 때문에 하이닉스 인수 이후가 더욱 문제”라며 “반도체 산업이 불황에 접어들면 현대중공업마저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현대중공업은 범현대가 재건의 명분보다는 사업적인 이득을 따진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