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7일 오후 과천 정부청사에서 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긴급 경제금융상황회의’를 열고, 신용평가사 S&P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대해 중점 논의했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다드 앤 푸어스(S&P)는 지난 6일 미국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 ‘AAA’에서 ‘AA+’로 한단계 하향 조정했다.
임 차관은 이날 회의에서 “대외 충격에 따른 과도한 변동성을 축소하고 투자심리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적기에 정책을 시행하도록 정책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금융상황 점검회의는 일시적인 회의에 그치지 않고 수시로 개최해 상황인식에 대한 공유를 강화할 것”이라며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하향과 유럽 재정위기 확산 우려 등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 핵심 참모도 이날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과 관련해 “낙관론보다 침체 우려가 크기는 하지만, 지난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때처럼 국내 시장이 패닉 상태로는 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정부의 낙관론에도 미국의 경제불안이 갈수록 심화되는 상황을 감안하면, 미국 경제와 연동성이 강한 한국 경제에 적잖은 ‘후폭풍’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달러 변동성이 커지면 증시나 환율은 물론 금융시장과 수출기업의 경쟁력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대외무역 의존도가 큰 한국경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 경기가 나빠지면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강화돼 단기적으로는 달러가 강세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약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더 큰 문제는 달러의 높고 낮음을 떠나 변동폭이 확대돼 금융시장의 불안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기업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환율 급락이 수익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실적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전자·IT기업들은 주요 수출 지역인 미국의 경기침체로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반전을 꾀하고 있던 건설업체와 해운업계도 정신적 공황상태에 빠졌다.
이밖에도 대미 수출 의존도가 큰 자동차·철강·조선업체들도 미국을 포함한 세계 경제 환경을 예의주시하면서 그 파장을 분석하느라 골몰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