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18개 은행을 포함한 34개 기관(금융공기업 10개 기관 포함)을 회원사로 지난해 2월 설립한 사용자단체로서 금융노조와 단체교섭을 진행하여 왔다.
올해 교섭에는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회장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을 비롯해서 우리은행, KB국민은행, 중소기업은행, 경남은행, 한국자산관리공사 노사 대표자가 교섭위원으로 참여했다.
올해 단체교섭은 지난 5월 12일 노사 상견례를 시작으로 약 6개월에 걸쳐 3차례의 대표자 교섭과 15차례의 대대표 교섭 및 20여차례의 공식, 비공식 실무교섭을 개최했다.
특히 이번 협약에서 금융권 노사는 2011년도 임금을 총액임금 기준 4.1%인상을 기준으로 각 기관별 노사가 상황에 맞게 별도로 정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임금협의 배경에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근 3년간 임금동결, 반납․삭감 등 고통분담을 감내한 은행권 종사자들의 사기진작을 도모하되 대내외 경제상황과 국민적 요구를 감안해 과도한 성과보상은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공감대가 크게 작용했다.
이에 따라 금융노조는 당초 8% 이상의 임금인상을 요구했으나, 약 6개월에 걸친 노사협상 끝에 2011년 금융권 임금인상률은 공공기관 임금인상률 수준에서 결정키로 했다.
또한, 2009년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삭감(평균 20%, 600~800만원)된 금융권 대졸 신입직원 임금은 기존직원과 신규직원간 임금체계 공정성 제고를 위해 2009년 2월 이후 채용된 대졸 신입직원의 초임을 단계적으로 정상화하되, 각 기관별 노사가 상황에 맞게 별도로 정하도록 했다.
국책은행 등 금융공기업은 정부지침에 따라 대졸 신입직원의 임금을 단계적으로 정상화할 방침이다.
또한 시중은행은 2009년 2월 이후 채용된 신규직원의 임금을 총인건비 내에서 기존 직원보다 높게 인상할 수 있는 등의 내용을 담은 지침을 준용토록 결정했다.
이에 따라 임금격차 조정은 기관 특성에 따라 단계적(2년 이상)으로 추진하되, ‘11년 7월 1일부터 적용할 수 있으며 임금격차 조정 완료 시점에서의 대졸초임(1년차)은 2009년 2월 이전 수준을 넘지 않아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