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조사본부는 31일 수사결과 발표를 통해 "해킹에 연루된 기무요원 4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조사본부는 광주지역 기무부대 간부 2명 구속에 이어 원사 1명과 방첩전문 210기무부대 간부 1명을 추가로 구속해 수사를 마무리짓고 있다.
조사본부는 "통신자료 분석과 관계서류 검증, 결재 시스템 확인, 관계자 진술 등을 입체적으로 수사한 결과 상급자와 상급부대 연관성 부분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조사당국은 한달 가까이 구속을 미루는 사이 범인들이 이메일 계정을 폐쇄한 것으로 드러나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하게 됐다.
특히 광주에서 해킹하기 8분 전 다른 기무요원이 서울에서 조선대 교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빼낸 사실을 자백하지 않는 등 증거인멸 우려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속하지 않았다는 것.
구속된 요원은 광주지역 기무부대 한모(47) 원사와 김모(37) 군무원, 서울 송파지역 기무부대 한모(35) 군무원에 이어 같은 부대 장모(35) 중사 등 4명이다.
조사본부는 조선대 기광서 정치외교학과 교수의 이메일과 자료를 해킹한 협의로 210기무부대 한모 군무원에 대해 지난 27일 사전구속영장을 청구, 광주지역 기무부대 간부들 3명을 군 검찰단으로 송치했다.
광주지역 기무부대 한 모 원사 지시를 받은 김모 군무원이 210기무부대 한 군무원에게 지원을 요청, 한 군무원이 지난 8월29일과 9월 1일,2일 기 교수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빼냈고, 김 군무원이 이를 이용해 9월2일 논문자료 700건을 해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