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건물은 경기도가 1425억원을 들여 건립해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 운영을 맡겼고 지난 2008년부터 매년 도비 35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은 수원 광교와 서울 관악에 캠퍼스를 운영 중이다.
경기도의회 전진규(한나라ㆍ평택4) 의원은 제263회 2차정례회 2차본회의 도정질의에서 “대학설립규정에 의하면 교사(학교 건물)ㆍ교지ㆍ교원이 있어야 하는데 광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이 입주한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경기도 소유라 불법으로 대학원이 설치된 것”이라며 “경기도가 대학원 설립과 관련해 협약을 어떻게 한 것이냐”고 지적했다.
이에 김문수 지사는 “서울대가 법이나 대통령령을 개정해서 (대학원 운영을)할 수 있다고 했는데 노력 과정에서 잘 되지 못했다”고 답했다.
전 의원은 또 “수원 광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서 최고경영자 과정을 운영하기로 경기도가 서울대와 협약을 체결했지만 관악캠퍼스를 오가며 수업을 해 불편을 겪고있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강사를 (수원 광교로)모시는데 불편하다는 점이 있다. 서울대에 강력히 요청했지만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전 의원은 “도의 예산이 투입된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 도내 기업에 대한 기술이전과 대학생 인턴연수 등에 힘쓰기로 했지만 제 역할을 못한다. 도민 혈세만 축내고 있다”고 따져 물었다.
또 “조례로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운영발전위원회를 둔다고 했지만 운영위원회 구성도 안 됐다”며 “돈만 먹는 부정적, 소극적 기구로 전락했다”고 비난했다.
김 지사는 “서울대 교수 중심으로 우수 인력이 자율적으로 운영해 좋은 성과를 내야 한다고 본다. 도에서 지나치게 간섭하는 것은 연구환경에 좋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장을 겸임하며 서울시장 선거에 개입한데 대한 입장을 묻자 김 지사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공공기관에 해당되지 않아 선거운동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선관위로부터 받았다”고 밝혔다.
안 원장은 지난 6월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 8월에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장에 임명됐으며 경기도의회 행정사무감사(10일)를 앞두고 지난달 27일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장직을 사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