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대선 주자로 거론되는 안철수 서울대 교수가 15일 사재 1500억원을 사회에 환원키로 공식 발표하면서 노블리스 오블리제(사회적 지위에 상응하는 사회적 의무)가 한국사회에 자리잡을 수 있을지 새 화두로 떠올랐다.<관련 기사 6면>
안 교수의 ‘통큰’ 기부로 그동안 ‘책임정치’란 최소 의무에만 안주하던 정치권을 향한 비난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성 정치권의 향후 행보도 관심사다.
안 교수는 지난 14일 자신이 보유한 안철수연구소 주식 지분(37.1%)의 절반인 1500억원 상당을 사회에 환원키로 결정했다.
그는 일단 “단지 오래전부터 생각해 왔던 일을 실행에 옮긴 것일 뿐”이라며 정치적 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안 교수가 사실상 대권주자로 부상한 만큼 사회환원에는 지지도 상승을 위한 계산이 깔려 있으며, 결과적으로 큰 정치적 자산을 얻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에 한나라당은 큰 충격에 빠졌다. 시민사회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안 교수가 ‘자수성가’해 모은 재산의 절반을 내놓으며 대권주자로서 파괴력이 배가됐다는 판단 때문이다.
특히 부자정당이란 이미지가 강한 한나라당으로선 안 교수가 부유층의 사회적 의무를 다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 “한나라당은 기득권층으로서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란 인식을 확산시킬까 고민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안 교수가 양극화 심화란 여당의 약점을 꼬집은 셈이 됐다.
이에 따라 ‘자의반, 타의반’으로 기성정치권의 사회기부 움직임과 복지정책 확대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은 “속수무책이다. 안 원장의 기부가 국민에게 얼마나 많은 호응을 받겠느냐”고 말했고, 한 쇄신파 의원도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뒤쫓아가서라도 민생정책을 내놓아야 한다. 안 원장과 너무 대비가 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사유재산 인정'이란 보호막 뒤에 숨어있던 재벌집단을 향해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여론이 커질 것으로 보여, 안 교수의 이번 기부가 어디까지 사회적 반향을 일으킬 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