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8일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전국가구(2인 이상)의 월평균 소득은 389만8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 증가했지만 실질소득은 물가급등으로 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명목소득의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2.4%에서 올해 1분기 3.5%, 2분기 4.7%, 3분기 6.5% 등을 기록해 3분기 연속 크게 증가했다.
반면 물가수준을 고려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1.2%, 올해 1분기 -0.9%로 감소했다가 2분기 0.5%, 3분기 1.6% 등 소폭 개선에 그쳤다.
이에 따라 명목소득 증가율과 실질소득 증가율의 격차는 지난해 4분기 3.6%포인트에서 1분기 4.4%포인트, 2분기 4.2%포인트, 3분기 4.9%포인트로 확대됐다.
가계소득의 부문별로는 3분기 고용이 늘면서 근로소득이 전년동기대비 6.2% 증가했고, 사업소득은 4.9% 증가했다.
3분기 가계지출은 월평균 319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 증가했다. 이 가운데 소비지출은 월평균 244만4000원으로 5.8% 증가했으나 물가수준을 고려한 실질소비는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15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늘었고,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차감한 흑자액은 70만8000원으로 7.7%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