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 시설은 서남물재생센터에서 처리한 물을 생물막여과ㆍ오존처리 등을 통해 물놀이가 가능한 BOD(생화학적산소요구량) 3㎎/ℓ 이하의 수질로 한 단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사업비 총 220억원이 투입되며 공사는 오는 2013년 10월 완료될 예정이다.
공사가 완료되면 하루에 최대 2만t의 도시재생수를 마곡지구의 민간시설과 관공서에 화장실 세정수, 조경용수, 도로청소용수로 공급하게 된다.
현재 서울의 하수 재사용률은 3.2% 수준으로 전국 지자체 평균 10%에 한참 못 미치는 형편이다.
그러나 서남, 중랑 등 2개 물재생센터의 시설 현대화사업과 물재생 공급시설 등이 완료되면 서울시의 물 재사용률은 약 13.1%(48만t)로 증가하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 물재생센터에서 처리할 수 있는 하수는 1일 약 400만t으로 이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재생된 하수의 이용으로 지역적인 물 부족 현상이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공급관로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