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이행결과 점검…방향성 논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28 18:3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9일 부산개발원조총회 개막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원조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논의하기 위해 반기문 UN 사무총장과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 등 국제 지도자들이 29일 부산에 모인다.

세계 최대 국제 회의인 부산개발원조총회는 2003년 이탈리아 로마, 2005년 프랑스 파리, 2008년 가나 아크라에 이어 네번째로 우리나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다.

사흘간 열리는 이번 총회에서는 파리 총회에서 제시된 △주인의식과 책임성 △수혜국정책과의 일치 △공여국간의 조화 △성과관리 △책무성 등 5대 원칙의 이행결과를 점검하고, 추후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전망이다. 이 결과는 폐막일인 내달 1일 '부산선언'에 담긴다.

이번 총회에는 반기문 UN 사무총장을 비롯해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 등 정상급 인사들과 160여개국 정부 대표단, 각종 국제기구, 시민사회, 학계 대표 등 25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자리바꿈하는 데 성공한 우리나라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경제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1969년 우리나라는 국제사회로부터 800억원 정도 규모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정부 예산(3000억원)의 3분의 1에 가까운 금액이다. 선진국의 공적 개발원조(ODA)가 우리나라 경제에서 차지했던 비중을 잘 보여준다.

1945년 해방 이후 1990년대 후반까지 한국이 국제사회로부터 받은 원조금액은 모두 127억 달러.

1995년 비로소 원조국이란 타이틀은 떼어냈지만 공식적 원조 공여국으로의 지위를 인정받는 데는 14년이 더 걸렸다.

우리나라는 1995년 세계은행의 원조대상국 명단에서 빠지고 그 이듬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했다. 그러나 OECD 산하의 개발원조위원회(DAC)에는 들어가지 못했다.

그러다 공적개발원조 총액 1억 달러 이상 등의 가입조건이 충족되면서 2009년 DAC의 신규 회원국이 됐다.

지난해까지 우리나라가 원조한 금액은 77억3400만 달러로 추정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