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발효 내년 1월 1일 넘길 듯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가 내년 1월 중순 이후로 늦춰질 전망이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12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내년 1월 1일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이행협의에 시간이 조금 더 걸릴 가능성도 있다”며 목표 시한을 넘길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김 장관은 “한미 FTA가 발효되면 대통령이 이야기하신 바와 같이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에 대해 미국 측과 즉각 협의를 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석영 외교통상부 FTA 교섭대표도 이날 브리핑에서 “한미 FTA 발효 목표일이 내년 1월 1일이었지만 미국 쪽에서 국내법의 번역과 법률검토 작업, 연말연시 휴일 등으로 발효 목표일을 맞추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밝혔다.

최 대표는 “그러나 발효시기가 그렇게 늦어지지 않을 것이다. 업계에서도 약간의 지연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국내에서의 한미 FTA 이행법률의 하위법령 정비작업이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고 미국 측도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발효한다’는 입장이어서 한미 FTA 발효시기가 1월 중·하순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최 대표는 협정 발효 목표일에 맞춰 제·개정된 법안의 발효시기 문제와 관련 해서는 “이행법령의 부칙에 발효는 한미 FTA 발효일과 일치하게 돼 있다. 미스매치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중·일 3국 간 FTA 협상개시 시점은 정상회의 논의 전까지 예상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최 대표는 “16일 마무리되는 산관학 공동연구 결과를 내년 5월 중국에서 열리는 3국 정상회의에 보고하며 정상들은 그 결과를 갖고 3국 FTA 협상 개시시기를 논의한다”고 답변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12일 “내년 1월 1일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이행협의에 시간이 조금 더 걸릴 가능성도 있다”며 목표 시한을 넘길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