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9일 국무총리실장 주재로 외국인력정책위원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2012년도 외국인력 도입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내년도 경기 및 노동시장 전망, 불법체류 추이 등을 감안해 외국인력 도입 규모를 결정했다.
우선 일반외국인(E-9) 도입쿼터는 올해 4만 8000명보다 9000명 늘어난 5만 7000명으로 확대했다.
이는 체류기간 만료자 및 불법체류 비중 등을 고려한 대체 수요를 반영한 것이다. 취업기간 만료 외국인 규모는 올해 3만 4000명에서 내년 6만 7000명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정부는 총 쿼터 중 1만 1000명을 성실ㆍ숙련 외국인 근로자 및 특별 한국어시험 합격자로 배정해 고용허가제 취업기간 만료 후 귀국했다가 재입국하는 취업자가 신속히 입국할 수 있도록 했다.
업종별로는 인력부족이 심한 제조업(4만 9000명), 농축산업(4500명), 어업(1750명)을 중심으로 배정됐고 시기별로는 상반기에 60% 이상이 할당됐다.
인력부족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업종이나 지방 제조업은 고용 한도를 20% 상향해서 허용할 예정이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 경기회복 속도, 노동시장 상황 등을 모니터링한 뒤 필요하면 3분기 중 추가 도입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일반외국인 외에 총 체류인원으로 관리 중인 방문취업 동포(H-2) 규모는 건설ㆍ음식숙박업에 종사하는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보호하기 위해 올해와 같은 30만3000명으로 결정됐다.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은 “중소기업이 숙련 외국인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재입국자 우대방안을 추진할 것”이라며 “외국인력 도입으로 청년ㆍ중고령자가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구인과 구직을 연계하는 등 미스매치 해소 대책도 함께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