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올해 중국에 9조원 투자..어디에 쓰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05 16:4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반도체·LCD 현지공장 추진

(아주경제 김병용 기자) 삼성이 올해 중국 진출 20주년을 맞아 재도약을 꿈꾸고 있다.

삼성은 올해 중국에서 최대 9조원을 투자해 현지 제조거점 안정화에 주력하기로 했다.

중국 내 브랜드 파워를 늘릴 방침이고 인력 보강도 마친 상태다. '제2 도약'을 선언한 셈이다.

지식경제부는 4일 삼성전자의 '10나노급 낸드플래시 메모리' 중국 투자 신고를 수리했다. 삼성전자의 중국 반도체 생산라인 건설계획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2월 6일 중국에 낸드플래시 반도체 생산라인을 설립하기 위해 지경부에 투자신고서를 제출했다.

스마트폰·태블릿 등 모바일기기 확산으로 중국의 낸드플래시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게 삼성전자가 반도체 공장을 짓는 이유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폰 생산량의 37%가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2015년에는 50%에 달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모바일기기에 탑재되는 반도체는 부품업체와 제품기업의 긴밀한 협조가 중요하다"며 "중국이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부상했다. 현지공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또 중국 쑤저우에 건설하고 있는 7.5세대 액정표시장치(LCD) 공장을 8세대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대형 LCD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것을 감안, 7.5세대를 건너뛰고 8세대 라인으로 넘어가기 위한 것이다.

삼성은 낸드플래시 생산라인과 LCD 공장 세대변경 등을 통해 올해만 8조~9조원을 중국에 투자할 예정이다. 올해 삼성의 전체 투자액은 45조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5분의 1가량을 중국에 쏟아붓는 셈이다.

사령탑은 장원기 삼성전자 사장이 맡았다. 장 사장은 지난해 12월 7일 사장단 인사에서 중국본사 사장으로 선임됐다. 장 사장은 반도체와 LCD 분야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다. 경험과 능력 면에서 중국본사를 이끌 적임자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 측은 중국 제조거점의 안정화와 그룹의 중국시장 진출을 전략적으로 지원, 중국 내 브랜드 파워를 증진시키기 위해 장 사장을 중국본사 사장으로 임명했다고 설명했다.

정호성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선진국보다 높은 경제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는 신흥국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선진국에 대한 수출 둔화를 신흥국에 대한 수출 확대로 보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