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그가 아직도 현직 KT&G복지재단 이사장이란 점이다. KT&G복지재단의 중요한 결재서류에 아직도 사인을 한다는 의미다. 듣기 좋은 말로 표현하면 '옥중 경영'을 펼치는 중이다. 임기가 올해 6월 말까지라는 이유로 구치소에서 월급 등을 아직도 재단으로부터 받고 있다. 물론 재단 운영비는 KT&G가 지원하고 있다.
KT&G복지재단 측은 양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인이 사임 의사를 밝히기 전까지는 어떤 조치도 취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더 큰 문제는 최근 KT&G복지재단이 그동안 후원했던 사회복지단체들한테 김 이사장의 선처를 호소하는 법원 제출용 '탄원서'까지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커지고 있다. 높은 자리에 있을 때 도와줬으니 이제는 은혜를 갚으라는 식이다.
세상에 이런 일이 있을까 싶다.
KT&G복지재단의 설립 주체는 KT&G다. 자사주와 현금을 출연해 만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복지재단 측에 따르면 KT&G는 현재 아무런 권한도 없다. 해마다 42억원씩 기부하지만 관리·감독은커녕 감사 기능도 없다는 게 재단 관계자의 설명이다. 해마다 일정 금액을 주고 있지만 사용처가 어딘지, 누수는 없는지조차도 KT&G에서는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보건복지부와 관할구청이 감사하기 때문에 KT&G는 관계 없다는 입장이다.
해도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에 구속된 김재홍 이사장은 평생 한 우물만 팠다. 1965년에 KT&G의 전신인 '전매청'에 입사, 1997년부터 2001년까지 CEO를 역임했다. 퇴직 후인 2003년부터는 KT&G복지재단을 설립,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해 지금까지 근무하고 있다.
이런 '전관예우'가 또 있을까 싶다. 아무리 전매청이 전신이었다고 해도, 이제는 민간기업이 된 KT&G와 계열사의 요직을 전매청 출신들이 틀어잡고 있다는 건 전관예우라고밖에 해석할 수 없다.
사실 KT&G복지재단 이사장은 재단 이사회에서 결정한다. 사회 각 분야의 저명 인사들이 모여 합의를 도출하는 형태다. 하지만 지금의 이사회는 구치소에 감금된 '이사장'에 대해 어떤 결정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책임 회피 내지는 무능함으로밖에 풀이되지 않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