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독일은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신용 등급 강등을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독일 재무장관은 현지 RTL 방송에 출연해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신용 평가사들의 평가를 과대평가해서는 안 된다는데 의견일치가 있었다”며“ 프랑스는 제대로 된 길을 가고 있고 유로존 17개국도 매우 단단히 통합돼 있다고 밝혔다.
또 ”유로존 국가의 공공재정을 안정화하고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유지하도록 도울 것“이며 공공재정을 강화하고 유로존 부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앙겔라 메르켈 정부의 노력은 변함이 없다고 덧붙였다.
오스트리아도 유로존이 부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광범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 S&P가 신용등급 강등 결정을 내린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오스트리아 재무장관은 자국의 경제 지표가 건강하기 때문에 시장의 반응이 호들갑스럽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올리 렌 EU 경제·통화담당 집행위원도 ”유로 지역이 부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결단력 있게 행동을 취하는 중에 신용 등급을 강등한 S&P의 결정은 일관성이 없다“고 비판하고 유감의 뜻을 전했다.
이탈리아는 앞으로 부채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개혁을 더 단호히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탈리아 총리실 관계자는 ”이번 신용등급 강등으로 (부채 위기 해결을 위한) 지금의 개혁을 계속하겠다는 정부의 결심이 강해졌다“고 말했다.
프랑스 재무장관도 신용등급 강등이 ”좋은 소식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재앙이 닥친 것도 아니다“고 폄하하고 추가 긴축정책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장 클로드 융커 유로존 재무장관회의(유로그룹) 의장은 ”부채 위기를 해결하고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길로 되돌아가도록 어떤 일이든 하겠다는 유로존 국가의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EFSF의 트리플A 신용등급을 유지하기 위한 참여국들의 의지는 단호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S&P는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키프로스, 몰타, 슬로바키아 등 9개국 국채의 신용 등급을 강등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