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이들 기관은 지난해 말부터 외화 여유자금 확보작업에 돌입했다. 각 기관의 규모별로 10억~20억달러씩, 총 80억달러가량의 외화유동성을 우선 확보할 방침이다.
이번 작업은 18개 은행이 마련한 ‘1차 방어선’ 약 270억달러 구축이 사실상 완료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이 자금은 커미티드라인(마이너스통장 성격의 단기 외화조달), 콜론(초단기대출), 스와프자금(원화와 외화의 교환) 등으로 확보됐다.
해당 은행들이 평상시 유지하는 외화유동성이 100억달러 안팎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3배에 가까운 규모다.
금융위 관계자는 “정책금융기관의 여유 외화자금은 은행의 ‘1차 방어선’이 무너졌을 때 중소기업 무역금융이나 외화대출 등으로 쓰는 ‘2차 방어선’ 성격”이라고 설명했다.
1, 2차 방어선이 모두 뚫릴 경우에는 한국은행이 보유한 3000억달러 이상의 외화가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하게 한다.
그러나 이 외화보유액 사용은 우리나라의 국가신인도 문제와 직결돼 손을 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계자는 “은행들이 조달비용 상승을 감내하고 ‘1차 방어선’을 만들었다”며 “이제부터는 조달비용이 싼 정책금융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설 차례”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