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스마트 금융', 전산시스템부터 안정화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31 13: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이수경 금융부 기자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설 연휴 다음날인 25일, 지인이 문자메시지 한 통을 보냈다. “지금 우리은행 ATM기가 안된다”며 “농협도 불안하고, 대체 안전한 은행이 어디냐”는 내용이었다.

지난해 말썽이었던 은행권 전산장애 사고가 올해에도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올 들어서만 두 번이나 전산망에 이상이 생기며 업무가 중단된 바 있고, 농협과 부산은행 등 올해에 발생한 은행권 전산사고만 벌써 4번째다.

특히 농협은 지난해 4월 복구에만 한 달 이상이 소요됐던 사상 최악의 금융권 전산망 마비 사태를 겪었음에도 또다시 장애를 겪었다.

소비자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전산 사고가 생기면 은행 지점은 물론 트위터 등 온라인 상에서도 ‘혹여 전산 오류로 인해 은행에 맡겨놓은 내 돈이 사라지는 것은 아닌가’, 또는 ‘업무 중단으로 인해 급히 송금하거나 받아야 할 돈을 챙기지 못해 문제가 생기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들이 쇄도한다.

금융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다. 특히 은행과 같은 1금융권에서 안전성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필수 요소다. 하지만 지금처럼 툭하면 전산사고가 터지는 상황에서 국민들이 어떻게 은행을 신뢰할 수 있을까.

더구나 지난해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로 인해 2금융, 3금융에 대한 불신이 커진 상태다. 결국 국민들은 불안하지만 어쩔 수 없이 은행에 돈을 맡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올해 은행권의 영업경쟁은 ‘스마트 금융’으로 집약된다. 모바일뱅킹 이용량 증가에 발맞춰 IT 투자를 늘리고, 미래형 점포와 온라인 상품 개발에 나서는 모양새다.

하지만 지금처럼 전산시스템의 불안정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스마트'는 요원할 뿐이다. 은행들은 철저한 관리와 점검, 대책을 우선 마련해야 하고 당국 또한 사고에 대한 처벌과 엄격한 규정을 적용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