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의식한 듯 산업은행은 내부통제 기능을 강화하고 투명경영 체제를 확립하겠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달 31일 공공기관 지정이 해제된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에 대한 감독 강화 의지를 피력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이 공공기관 굴레를 벗었기 때문에 이제부터 시중은행과 공정하게 경쟁을 해야 한다”며 “이를 감안해 감독 수위도 시중은행 수준으로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산업은행은 민영화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수신기반 확충 등을 위해 공격적인 영업에 나설 수 있다”며 “건전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공공기관 지정 해제로 예산과 인력, 조직 운용이 더욱 자유로워졌다. 두 은행이 이를 계기로 외형 확대에 나설 경우 그 동안 은행권에 과당경쟁 자제를 요구해 왔던 금융당국의 입장이 난처해질 수 있다.
기업은행의 점포 수는 633개로 은행권 전체 점포 수의 8.3% 수준이다. 산업은행은 이보다 훨씬 적은 60개로 0.8%에 불과하다. 영업망 확대 등에 대한 의지가 강할 수밖에 없다.
이번 두 은행의 공공기관 지정 해제에 강만수 산은금융지주 회장 겸 산업은행장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시선에 금융당국의 감독 강화 입장까지 전해지자 산업은행은 즉시 진화에 나섰다.
산은금융지주와 산업은행은 전날 임원 연석회의를 개최하고 최저의 비용으로 최고의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책임경영 체제가 조기에 정착되는데 최선을 다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어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공공기관 지정 해제가 경쟁력과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한 조치인 만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방만경영 등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오랜 노력으로 얻은 자율권을 지속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 “확대된 자율성을 바탕으로 차질 없이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고 글로벌 금융그룹으로 발전하겠다”며 “정부 소유 은행으로서 공공성 역할도 충실히 수행해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국민의 신뢰를 받는 금융회사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