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산식품 수출 300억 달러 달성키로"

  • 농식품부, 제113차 비상경제대책회의서 이명박대통령에게 '농식품 수출 확대전략' 보고<br/>전략품목 육성 및 선도조직과 협의회를 통한 수출의 규모화·조직화<br/>핵심 인프라 확충 및 공격적인 해외시장개척으로 수출 시장 다변화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정부가 농수산식품 수출 300억 달러를 위한 전략안을 발표했다.

3일 농림수산식품부는 이명박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전략'을 발표하고, "전략품목 중심으로 스타품목 육성, 수출선도조직 50개 육성, 양식·원예 등 10조원 규모 시설 현대화 등을 통해 300억달러 농식품 수출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이자리에서 서규용 농식품부 장관은 "농림수산식품부는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어려운 여건이지만, 중화권 소비증가 및 일본산 대체 수요, 한류 확산 등 주변국의 여건 변화하고 시장 개방 가속화로 우리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이 확대될 것"이라며 "생산·수출의 인프라 구축, 수출의 규모화 및 시장다변화를 극복하고 주요 품목에 대한 중장기 수출 목표와 핵심 대책을 통해 수출농업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선 농식품부는 인삼, 김치, 파프리카, 막걸리, 김, 넙치, 굴 등 농어가 소득연계 효과가 높고 성장잠재력이 풍부한 25개 전략품목을 농식품 수출 증대의 핵심 동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농산물 시설원예 품목 중심으로 올해 13억달러에서 2020년 50억달러 수출목표를 세웠다.
인삼의 경우 고려인삼의 중주국 위상에 맞게 2020년 10억달러 수출을 목표로 한국산 브랜드 제품에 대한 중국 상류층의 소비 확대, 고려인삼이 체열을 상승시킨다는 잘못된 인식을 바꾸는 등의 노력을 통해 수요를 대폭 늘리기로 했다. 최대 수출 시장인 중화권 시장 공략을 위한 집중 마케팅과 미국·동남아시장 수요 창출을 위한 기능성 연구 및 홍보활동도 강화하기로 했다.

일본시장 점유율이 70%에 이르는 파프리카는 현지 ‘피망’ 소비층 공략을 통한 시장 창출 및 중국 검역 장벽 해소를 통해 수출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농식품부는 수출의 88%를 점유하는 수출단일조직(Kopa)을 중심으로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고 신규시장 개척에 총력을 기울이며 오는 2020년까지 3억달러 수출을 이뤄낼 계획이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가공식품을 고부가가치 식품산업으로 육성하면서 2020년까지 150억달러를 수출할 계획이다.
농수산식품기업지원센터(aT)를 통한 수출종합지원(One-stop)을 강화하면서 시장현황, 검역 등 정보 수집·전파 및 애로 접수·상담 등 종합 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했다. 소녀시대 등 한류 스타를 활용한 한국 식품 인지도 제고와 홍보활동도 강화하기로했다.

막걸리는 중국 시장개척으로 2020년까지 1억6000만달러를 수출할 계획이다. 일본 막걸리 붐과 함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고 중화권, 동남아 등지로 붐이 확산되면서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농식품부는 내다봤다.

특히 수산물의 경우 김, 굴, 넙치 등 10대 전략품목을 중심으로 △육성, 양식 어장에 대한 진입 규제 완화 △해외 양식 진출 △생산·유통·가공이 융·복합된 해외양식사업 최적 모델 발굴·확산 등의 지원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100억달러를 수출하기로 했다.

갯벌참굴의 경우 일반 굴의 10배의 가격이 형성돼 있고, 원전사고에 의한 대체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농식품부는 갯벌 친환경 양식생산 기지를 조성(2500ha, 12억개 생산), EU·홍콩 등 신규시장 개척안정 공급기반 구축으로 2020년까지 10억달러 수출을 달성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농식품부는 △수출관련 지원기관이 참여한 수출촉진단 구성·운영 △골든시드프로젝트(Golden seed project)를 통한 수출용 종자·종묘 개발 △선도조직과 협의회 중심으로 수출 규모화·조직화 추진 △10조 규모의 시설현대화 △간척지 첨단유리온실사업을 본격화 등을 계획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