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한화는 한국거래소 상장폐지 실질심사 관련 사과문을 통해 투명경영 제고방안을 내놓았다.
남영선 대표는 "공시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아 거래소에서 상장폐지 실질심사 절차가 진행됐다"며 "주식거래 정지가 될 위기에 놓여 주주 여러분에게 걱정을 끼친 점을 깊이 사과하는 것은 물론 재발을 막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화는 앞서 3일 장 마감 후 김승연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이 횡령·배임 혐의로 기소된 사실을 공시했다.
거래소는 이에 대해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에 해당하는지 검토하겠다며 6일부터 한화 주식 거래를 정지한다고 밝혔다.
반면 5일 거래소는 긴급회의를 열어 한화를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에 따라 한화 주식은 6일부터 정상 거래된다.
남 대표는 "이번 공시내용 가운데 혐의에 관한 건은 작년 1월 29일 검찰이 일방적으로 기소한 내용을 공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피고인 모두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며 "최종 법원 판결이 이뤄진 것이 아니고 이달 23일 1심 판결 선고가 예정돼 있다"고 덧붙였다.
한화가 내놓은 투명경영 제고방안에서 골자는 기업가치 증진을 통해 더욱 신뢰받는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것이다.
가장 먼저 내부거래위원회 운영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특수관계인과 거래에 대한 승인을 담당하는 의사결정기구를 맡을 위원장을 사외이사 가운데 선임하기로 했다.
의사결정 투명성을 보완하겠다는 것이다.
자산과 유가증권, 자금 거래시에는 공정거래법이 규정하는 대규모 내부거래제도 기준액인 50억원보다 엄격하게 30억원을 기준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향후 도입될 준법지원인제도를 실질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이사회 부의 안건에 대한 사전 법적검토 권한과 공시 업무관리 감독권을 부여하기로 했다.
사내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도 관리·감독 기능이 확대된다.
감사위원회 권한 또한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공시업무 조직을 늘려 역량을 키우기로 했다. 보다 엄격하게 공시를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사외이사 후보추천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서면투표제를 2005년부터 실시해 왔다"며 "더욱 더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고 내부 감시장치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실질적인 견제·감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제도 보완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국내 10대 기업집단 소속 지주회사인 한화가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이 되면서 대외 신인도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었다.
거래소 규정을 보면 횡령·배임 혐의액이 자기자본의 5% 이상, 대규모 법인은 2.5% 이상이면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