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체임버스 스탠더드앤푸어스(S&P) 국가 신용등급 위원장은 8일(현지시간) 투자자들과 가진 웹캐스트에서 “매년 1조 달러가 넘는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뢰할 만한 중장기적 재정 계획이 나와야 하는데 의회의 벼랑끝 전술이 여전하고 획기적인 방안이 올해 대선 전에 나올 것 같지 않다”고 이유를 들었다.
체임버스 위원장은 이같은 분석에 따라 미국이 대선 이후 신용 등급이 하락할 확률을 약 3분의1로 내다봤다. 구체적인 적자 감축 방안으로는 그동안 민주당과 공화당이 첨예한 의견 대립을 보았던 각종 사회보장제도의 지출을 손보고, 증세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S&P는 그럼에도 올해 11월 대선 전에는 특별하고 구체적인 이유가 없는 한 현 AA+의 미국 국가 신용등급을 그대로 유지할 전망이다. 체임버스 위원장은 “대선 전에는 별다른 일이 벌어지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같은 S&P의 입장은 지난해 국가 신용등급을 강등한 근거를 다시 정당화하고, 미국 정부에 추가적인 개혁 조치를 주문한 것으로 분석된다. S&P는 미국 정부는 물론이고 국제 투자기관들로부터 과연 당시 미국 신용등급을 내린 것이 타당했는지 많은 문제 제기를 받았다.
S&P는 당시 신용등급 강등과 함께 향후 6개월~2년 이내 추가 등급 강등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S&P의 신용등급 강등에도 불구하고 미국 국채는 여전히 전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대상으로 여겨지고 있고, 지난해 9.8%가 오히려 상승해 2008년 이후 최고가를 기록했다. 유로존 등 유럽의 재정위기가 신용등급이 강등당한 미국의 국채 가격을 오히려 상승시키게 한 요인도 있었다.
(워싱턴(미국)=송지영 특파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