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일본 동경에서 개최된 ‘일본 금융청(FSA) 주최 컨퍼런스’에 참석한 김 총재는 ‘아시아 금융통합과 금융안정 그리고 중앙은행의 역할’이라는 주제의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언급했다.
또한 그는 “금융통합이나 금융자유화 등을 통해 금융부문에서 선진국과의 생산성 격차가 해소된다면 이는 다시 실물부문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총재는 연설을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4년째 들어선 지금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성장의 재점화’를 생각해 볼 시점이 됐다”며 “글로벌 경제의 장기적 성장을 위해서는 자본흐름이 조속히 정상화되어 자본이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높은 신흥국 등으로 흘러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맥락에서 아시아의 역할이 중요하나, 높은 해외수요 의존도와 미흡한 역내 금융통합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금융통합의 장점에 대해 “국내 금융발전 견인, 국내 또는 국가간 자원의 효율적 배분 등을 통해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며 “이러한 긍정적 효과는 경제발전 단계 및 인구구조가 서로 다른 아시아 국가 간에 역내 금융통합이 이루어질 경우 극대화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금융통합이 시장유동성 확충, 위험분산 및 경쟁촉진 등을 통해 시장참가자들의 보다 효율적인 위험관리를 가능하게 한다”면서 “특히 금융통합을 통한 금융안정 강화는 대부분의 무역 및 금융거래가 미달러화 표시로 이루어지는 아시아 지역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총재는 역내 금융통합 진전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금융부문의 시스템적 위험(systemic risk)을 적절히 통제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를 위해 중앙은행의 거시건전성 차원의 위험관리가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김 총재는 중앙은행이 이를 수행하는 배경에 대해 “실물과 금융 간 연계성을 감안할 때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은 서로 분리될 수 없으므로, 물가안정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통화정책과 금융안정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거시건전성 정책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며 “극심한 유동성 경색기에 중앙은행이 수행하는 최종대부자 기능 자체가 금융안정을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김 총재는 안정적 통화정책 운용, 재정건전성 확보, 거시건전성 감독 강화 등이 적극적으로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