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이사 관련 규정이 대폭 강화되면서 과거의 해묵은 관행을 타파할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올 들어 금융지주사 노조는 물론 국민연금까지 사외이사 역할론에 가세하면서 사외이사 논란은 점차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KB, 하나, 신한, 우리 등 4대 금융지주와 은행의 사외이사 57명 중 3분의 2 규모인 36명의 임기가 만료된다.
이들 사외이사의 연임 여부는 오는 3월 주주총회에서 결정된다.
다수 사외이사들의 릴레이 임기 만료는 각 지주사가 지난해부터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시행한 데 따른 결과다.
이 규준은 사외이사들이 장기집권하면서 사측과 내통해 견제기능을 상실하는 폐단을 막기 위해 사외이사 임기를 최초 선임 시 2년, 연임 시 1년으로 제한하고 최장 임기를 5년으로 묶었다.
금융지주 노조들은 이러한 호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직접 사외이사를 추천하겠다고 나섰다.
노조가 사외이사 추천을 위한 주주제안서를 제출한 KB금융의 경우 전체 사외이사 8명 중 5명의 임기가 만료된다.
KB금융에 이어 노조가 사외이사 추천에 뛰어 든 신한금융 역시 올해 4명, 내년 5명의 임기가 끝난다.
특히 올해부터는 사내이사가 사외이사 후보 추천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는 ‘금융회사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이 시행돼 노조의 목소리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경영진의 사외이사 추천이 금지될 경우 노조가 추천한 사외이사가 이사회에 입성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사외이사는 지금껏 거수기 역할을 하는데 불과했다”며 “각 금융지주 노조나 국민연금 등의 움직임에 비춰볼 때 앞으로는 그 역할과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