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산하 정책쇄신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비대위원은 이날 쇄신분과 전체회의에서 “정당의 정책공약에 대해 정부가 시비를 거는 게 처음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재정부는 전날 “복지 지출은 현재 수준을 유지해도 계속 늘어 국가채무비율을 2050년 137%로 높이게 되는데 정치권 공약은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수준”(김동연 제2차관)이라며 정치권의 복지 요구가 도를 넘었다는 판단 아래 복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김 비대위원은 “(재정부가) 왜 갑자기 그런 일을 하는지 모르겠다. 그런 정력을 낭비할 시간이 있으면 당면문제에나 보다 신경 쓸 일”이라며 “정당에 시비를 걸려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납득할 수 없는 행동”이라고 재정부를 정면 겨냥했다.
그는 “예산이라는 것은 정치적인 의지를 숫자로 표현하는 것이며, 차기 대통령이 돼서 복지를 하려고 해도 재정의 한계를 넘어 할 수는 없다”며 “재정부가 선거 공약에 관심을 갖는 것이라면, 지난 대선 때 (이명박 후보의) ‘747’은 허무맹랑한 공약인데 그때는 아무 얘기 안 했다”고 거듭 비판했다.
특히 ‘사병월급 40만원 인상’을 재정부에서 지적한 것과 관련, “당에서도 받아들일 생각도 안 하는 것을 행정부가 짚어내는 게 우스꽝스럽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 현행 예산을 10% 정도 조정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고 그렇게 하면 30∼32조원은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며 “영국도 보수당 정권이 들어서서 각 부처별 20% 예산절감을 내걸고 실질적으로 (공약을) 시행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