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은 최 회장이 21일 중국 우시(無錫)시에 위치한 하이닉스 공장을 방문, 임직원을 격려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과 관련해 그룹 측은 "지난 15일 이천과 청주 사업장을 방문한 최 회장에게 하이닉스 임직원들의 조기 경영정상화에 대한 바람이 전달됐고, 이후 최 회장은 우시 사업장도 찾아가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싶다는 뜻을 밝혀 진행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장을 찾은 최 회장은 "SK는 한중 수교 이전인 지난 1990년에 한국 기업 최초로 중국에 투자하는 등 중국과는 긴 역사를 갖고 있다"며 "SK와 하이닉스가 만나서 세계 최고 반도체 기업을 만들어 나갈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우시 공장은 중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높은 생산성과 기술력을 가진 곳으로 중국 사업장의 발전과 성공은 하이닉스가 조기 경영 정상화하는 기틀이 될 것"이라며 "긍지와 자부심을 갖을 수 있도록 개인뿐 아니라 SK그룹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공장을 둘러본 최 회장은 중국 현지 직원들과 점심을 같이 했다.
이 자리에서 최 회장은 "우시 공장이 지금의 위치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직원들의 노력에 따른 높은 생산성과 반도체 수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격려한 뒤 직원들에게 불편 사항과 건의 사항을 일일이 묻기도 했다.
우시 공장 방문에 앞서 최 회장은 황리신(黄莉新) 우시시 서기, 쉬강(許剛) 우시시 신구관리위원회 서기 등과의 만찬을 갖고 SK와 우시시가 윈-윈할 수 있는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SK는 중국에 또다른 중국기업 SK를 건설한다는 '차이나 인사이더(China Insider)'라는 글로벌 경영철학을 갖고 있다"며 "우시 공장은 앞으로도 보다 높은 수준의 현지화를 이뤄 SK는 물론 중국도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만우 SK그룹 전무는 "하이닉스 우시 공장은 중국에서 매출 규모와 생산성 등 명실상부한 최고 기업으로 하이닉스 경영정상화가 조기에 되면 큰 성장이 예상되는 곳"이라며 "최 회장은 우시 공장 성공을 통해 하이닉스는 물론 한·중 협력을 키워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우시 공장은 중국내 반도체 공장 가운데 생산량과 생산기술 측면에서 최고 수준으로 향후 SK그룹의 글로벌 성장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곳이다.
실제 이곳에서는 월 15만장의 웨이퍼를 생산 중이며 전세계 D램 점유율(생산기준)의 11%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D램 10개 중 1개가 우시 공장에서 생산되는 셈이다. 또한 중국 내에서도 최고 수준인 30나노급 D램을 생산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