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원대 휴대폰 사고 월 6000원 USIM 요금제 쓴다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합리적인 통신 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블랙리스트제가 5월부터 시행되면서 휴대전화 단말기와 이동통신 서비스 선택에 있어 선택의 폭이 확대될 전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제도 시행으로 휴대전화 구매 문화에 큰 변화가 올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블랙리스트제도는 휴대전화 단말기를 구매하면서 이통사 가입을 의무화한 규제를 없애는 제도로 5월부터 시행 예정이다.

제도가 시행되면 단말기를 따로 구매하고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하는 USIM은 통신사로부터 따로 살 수 있게 된다.

중고폰의 사용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단말기의 전파인증을 받은 후 통신사의 망 연동 호환성 인증 시험(IOT)를 거쳐 출시했던 제조사들은 직접 휴대전화를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전파인증만 받고도 판매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IOT는 까다로운 것으로 유명하다.

국내 통신사들은 저마다 IOT를 강화하면서 통화품질 글로벌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외산 휴대전화의 경우 자국의 사업자 자율인증기관을 통해 IOT와 유사한 인증을 받고 수입되기 때문에 전파인증만 받아도 사용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것이 방송통신위원회의 설명이다.

단말기 가격과 보조금, 장려금, 약정할인 등이 더해져 불투명했던 판매가도 보다 명확해지면서 합리적인 가격이 책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격의 실체가 드러나면서 거품이 대폭 걷히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독점화돼 있던 단말기 판매에 제조사와 판매상, 수입상들이 서로 나서 경쟁하면서 값이 큰 폭으로 내릴 것이라는 예측이다.

윤두영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단말기대금이 관행적으로 높게 형성돼 왔으나 블랙리스트제 시행으로 거품이 대거 빠지게 될 것”이라면서 “보통 단말기의 경우 5만원이면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보급형 수입 단말기가 몰려올 가능성도 있다.

중국과 동남아에서는 3만원~5만원 수준의 저가 단말 시장이 크게 형성돼 있는 상황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 팬택 등 국내 업체들도 저가 단말 시장을 뺏기지 않기 위해 보급형 모델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0만원 이하 수준의 쓸만한 단말기를 사고 여기에 저렴한 이동통신재판매(MVNO)의 요금제를 활용할 경우 휴대폰 구매와 통신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MVNO인 CJ헬로비전은 이달 6000원의 USIM 요금제를 내놨다. 음성과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고 통화한 만큼만 내면 되는 요금제다. 데이터를 거의 쓰지 않고 통화량도 많지 않은 경우 요금 절감 효과가 크다.

현재 저렴한 스마트폰이 있는데도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하는 것처럼 제도 시행 이후 변화가 급격히 진행되지는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외국산 단말기가 저렴하게 공급되고 있으나 선택을 못 받고 있는 것처럼 제도 시행 이후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노근창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블랙리스트제 시행으로 경제 수준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니치 마켓이 열릴 것으로 본다”면서 “정액제에 보조금이 많이 실리는 구조가 되다보니 의미 있는 시장이 될 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제도 시행의 성패는 결국 사용자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

CJ헬로비전 관계자는 “실속 있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