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장칼럼) <차장칼럼-권석림의 인터그레이션> 한방의료 대책 정부가 나서야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지난 19일 서울 장충체육관은 전국에서 모인 한의사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대한한의사협회가 ‘2012 전국한의사대회’를 개최한 자리로 이곳에는 5000여명의 한의사들이 참가했다. 역대 최대 규모다.

이들은 국민건강 증진, 한의학의 세계화, 남북 교류·협력 확대 등 세 가지 분야에서 ‘한의약 비전’을 제시하며 첩약(한약)의 의료보험 적용, 한의사에 대한 의료기기 사용 허가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한의학을 현대적으로 응용·개발한 기기의 임상시험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한의사들이 이처럼 단체행동을 보이는 이유는 뭘까.

한의계가 늘어나는 회원 수와 저성장 경제상황 탓에 경영이 많이 힘든 상황이며, 회원들의 경영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절실했기 때문이다.

국민들의 한방의료에 대한 수요와 만족도는 매우 높은 반면, 타 의료기관에 비해 한방의료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이 크게 떨어져 국민들이 한방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데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국민들의 한방의료 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를 한 결과, 한방의료기관은 40~50대와 60대 중장년층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요통환자 이용률이 제일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질병 치료시 6% 정도가 한방병의원을 이용하고, 대부분 병의원(86.5%) 급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5507명)와 한방의료기관(471개소)을 대상으로 한방의료 이용형태, 만족도, 의료제공 실태를 조사하고, 한약취급기관(863개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국내 ‘한약제제급여목록 및 상한금액표’에 따르면 68종 단미엑스산제, 56종 기준처방이 건강보험 급여대상이었다. 일본의 경우 118종 단미엑스산제, 146종 복합제제 처방, 대만은 121종 단미엑스산제, 109종 복합제제 처방으로 구성돼 주변국 상황에 비해 열악한 실정이다.

한방의료기관 이용 환자 만족도는 81.9%나 되지만 이용률은 6%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국민건강 증진과 한방의료 발전을 위해 다양한 대책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다.

아울러 한약재의 왜곡된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한 투명한 관리에도 노력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