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유통분야 외투기업 250개사를 대상으로 ‘외국인투자 유통기업이 본 국내 기업환경 인식 조사’를 실시한 바에 따르면, 국내 유통 관련 규제정책이 외국인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51.8%로 ‘긍정적’(19.7%)이란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외투 유통기업은 규제정책이 한국 유통업체의 해외진출에 대해서도 ‘부정적’(44.9%)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국내 유통산업 규제정책에 대한 전반적 시각은 ‘부정적’이라는 의견(64.9%)이 많았으며, 외국인투자기업의 투자 본국과 비교해서도 규제수준이 높다는 의견이 33.2%로 나타났다. 본국에 비해 낮다는 응답은 13.4%에 그쳤다.
기업활동을 하면서 가장 애로를 느끼는 분야로는 ‘금융세제’(36.5%) 분야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환경’(26.1%), ‘노동’(13.5%), ‘입지’(11.3%) 순으로 답했다.
국내 유통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의 개입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냐는 질문에 56.4%의 기업이 ‘개입 대신 기업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답했고, ‘약간 개입 필요’는 38.4%, ‘적극 개입 필요’는 5.2%로 나타났다.
국내 유통기업의 유통·제조업체 동반성장 노력에 대해서는 ‘약간 노력하고 있다’(67.2%)는 평가가 많았고, 대·중소유통업체 동반성장 노력 역시 ‘약간 노력’(53.8%)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동반성장 관련 불공정거래 개선을 위한 본국 기업들의 노력 수준은 ‘약간 노력’ 73.3%, ‘매우 노력’ 22.6%, ‘노력하지 않음’ 4.1%로 평가했다.
국내 유통산업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는 35.2%의 기업이 ‘공생발전 노력’을 꼽았고, ‘유통구조 개편’(30.0%), ‘중소유통시장 활성화’(28.8%), ‘해외시장 개척’(3.6%), ‘정부 개입 강화’(1.6%)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김무영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작년 한해 제조업에 대한 외국인투자는 감소한 반면 유통업에 대한 외국인투자는 50% 이상 증가함으로써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면서 “지속적인 투자환경 조성을 위해 유통산업에 대한 새로운 규제보다는 시장 자율에 맡기고, 관련업계의 상생노력을 유도하는 정책 운용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