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은 송근정 응급의학과 교수(응급실장)가 2005~2009년 병원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 958명의 생존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심폐소생술 교육이 본격화된 2007년을 기점으로 생존퇴원율이 크게 높아졌다고 27일 밝혔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2005년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는 모두 168명으로 생존퇴원율이 17.2%에 달했다.
이 병원은 2007년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을 강화, 심폐소생술팀을 재구성하고 응급 진료팀을 별도로 가동했다.
그 결과 2007년에는 심정지 환자 182명의 생존퇴원율이 23.6%로 높아졌다.
2008년에는 6000명 안팎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연간 총 600회에 걸쳐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 2009년 심정지 환자 214명의 생존퇴원율은 28.5%나 됐다.
특히 응급실이나 중환자실보다 일반 환자가 많은 병동에서는 심정지 환자의 생존퇴원율이 36.7%의 성과를 보였다.
송근정 교수는 “심정지 환자를 살리는 데 있어 수준별, 체계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며 “앞으로 직원들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면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으로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