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지난 2011년 12월 9일부터 28일까지 한국갤럽에 의뢰해 개인투자자 1500명, 기관투자자 101명을 대상으로 '투자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형 헤지펀드에 대해서는 개인투자자들의 45.8%가 '인지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향후 가입 의향에 대해서는 '의향 없다'라는 의견이 52.8%로 '의향 있다'(14.7%)보다 높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헤지펀드 가입기준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됐다.
또한 개인투자자들이 주식, 펀드 등 금융투자를 하는 목적은 주로 '노후 대책'과 '자녀 교육·결혼' 자금 마련을 위한 것이며, 투자규모는 주로 '1000만원~5000만원 미만'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들이 노후에 '대비하고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85.3%로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14.7%) 보다 높아 대부분 노후 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장기 연금상품의 소득공제 혜택에 대해서도 '알고 있다'의 응답비율이 77.3%로 비교적 높아, 대체적으로 연금상품 세제혜택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한편, 증권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개인(만족률 43.6%, 불만족률 8.3%)과 기관투자자(만족률 47.5%, 불만족률 1.0%) 모두 만족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추천종목에 대해서도 개인(신뢰한다 37.2%, 신뢰하지 않는다 19.3%)과 기관투자자(신뢰한다 27.7%, 신뢰하지 않는다 10.8%) 모두 '신뢰한다'는 응답이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영창 금투협 조사연구실장은 "지난 2011년 전반적으로 저조한 투자수익률을 기록했지만 간접투자가 직접투자보다 평균적 손실율과 손실투자자 비율 모두 낮아, 전문가에 의한 자산운용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투자자들의 증권회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애널리스트 신뢰도가 높아진 것은 성숙한 투자문화의 정착과 함께 증권회사의 서비스 개선노력이 효과를 발휘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