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산 연구원은 "삼성테크윈이 사업 포트폴리오를 교체하는 과정에 있어 매년 신규 사업 기대감이 주가 상승의 촉매가 돼 왔고, 고 주가수익비율(PER)주이기 때문에 실적이 부진할 경우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패턴이 반복돼 왔지만 지금은 신규 사업과 수주 모멘텀이 우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삼성테크윈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 대상 대형 압축기 공급 계약 체결을 계기로 에너지 장비 사업의 장기 성장서이 부각되고 있다. 에너지 장비 사업은 공기압축기, 가스 압축기, 복합화력 발전용 가스터빈을 주로 하며, LNG 산업과 연관성이 강하다"며 "이 외에도 알제리 감시경계 솔루션, 반도체시스템 신규 제품, K-9자주포 호주 프로젝트 등 수주 모멘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반도체 부품과 시스템의 적자폭이 크게 줄어들고, 보안 카메라의 수익성이 회복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