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에 따르면 물혹이 있는 축농증 환자 33명과 물혹이 없는 축농증 환자 17명의 콧속 점막 조직을 떼어 내 물혹의 발생 원인을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축농증이 콧속(비강과 부비동) 환기 상태를 악화시켜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저산소유도인자(HIF)’가 증가하는 점에 주목하고 HIF의 증가 정도를 측정했다.
이 결과 HIF가 증가함에 따라 콧속 점막에 있는 상피세포가 간엽세포로 변화되는 것으로 관찰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또 HIF를 억제하는 물질을 찾아내 물혹 생성 억제효과를 동물실험으로 확인하는 성과도 거뒀다.
부비동염을 일으킨 쥐의 코에 물혹이 생기게 한 뒤 HIF 억제제를 투여한 결과 20마리 중 4마리에서만 물혹이 생긴 반면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9마리의 쥐는 모두 물혹이 관찰됐다.
이 연구결과는 호흡기 분야의 권위지인 미국흉부학회지(AJRCCM) 최근호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