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 =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수립 절차] |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서울시가 시민과 국내 각 분야 석학의 목소리를 담아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새로 수립한다.
서울시는 2013년 3월까지 서울의 토지이용·주택·교통·공원녹지 등 공간 구조와 장기 발전방향을 담은 최상위 법정계획인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고 17일 밝혔다.
시는 이미 서울시정개발연구원와 함께 계획안을 만든 바 있다. 이에 대해 시는 "지난 2011년 발표한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단계"라며 "발표된 계획안은 도시관리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는 본래의 기능이 미흡하고 미래보다는 현재에 초점을 맞춘 계획이라는 지적을 받음에 따라, 더 늦기 전에 전문가들이 제기한 문제점을 보강하고 시민 의견을 다각도로 담아, 미래의 다양한 사회 변화상을 담은 새 계획안을 만들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를 위해 김기호 서울시립대 교수를 단장으로 해 주택, 환경, 복지, 역사 분야 전문가 20명으로 구성된 '20인 전문가 자문단'과 '100인 시민 참여단'을 위촉하기로 했다.
이들은 18일 오전 시청 서소문별관 대회의실에서 위촉식과 1차 회의를 갖고 향후 운영방법과 일정 등에 대해 논의한다.
자문단은 다음달 말까지 도시기본계획 수립 방향을 정하며, 시민 참여단은 도시기본계획의 비전과 추진 전략을 만드는 과정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
시민참여단은 분야별 직능단체에서 추천한 인사와 공개모집을 통해 구성한다. 7월 위촉식을 갖고 8월부터 토의와 수립 과정에 참여한다.
시는 이를 토대로 자문단과 시 관련부서, 시정개발연구원, 시의원 등이 참여하는 '도시기본계획 수립 TF'를 구성해 분과별로 세부내용을 검토한다.
아울러 시는 인구 변화, 기술 진보, 기후 변화 등 서울의 미래상을 예측하기 위해 7월부터 6주간에 걸쳐 분야별 최고 수준의 국내 석학을 초청해 '지성에게 길을 묻다' 주제의 토론회를 개최하고 논의된 내용을 추후 도시계획 수립 과정에 반영할 계획이다.
주요 자문단 회의와 석학 초청 토론회 등 ‘2030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전 과정은 인터넷TV 등을 통해 공개된다.
문승국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가능한 많은 전문가와 시민들의 역량과 지혜를 모아 20년 앞은 물론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을 수립하겠다"며 "(도시계획이) 일부의 전유물이 아닌 시민 누구나 보다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획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