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모직은 10일 전라남도 여수사업장에서 폴리카보네이트 2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 날 준공식에는 제일모직 박종우 사장을 비롯해 이서현 부사장과 케미칼사업부 이장재 부사장 및 건설사인 삼성엔지니어링 박기석 사장 등 관계자 약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에 증설된 폴리카보네이트 2공장은 지난 2011년 4월에 착공해 약 15개월간 1600억 원을 투자해 완공됐으며, 연간 8만t의 생산 규모를 갖추고 있다.
제일모직은 지난 2006년 일본 아사히 카세이 케미칼(Asahi Kasei Chemicals)과 PC공장 제조공정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한 이후, 2008년 여수에 8만t 규모의 PC 1공장을 준공했으며, 이번 2공장 준공으로 총 16만 t의 PC 생산 규모를 갖추게 됐다.
특히 제일모직의 PC 제조 공정은 유해물질인 포스겐(phosgen)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공정으로 건설됐다.
폴리카보네이트는 휴대폰·노트북·모니터 등 첨단 IT기기의 외장재와 자동차용 내외장재, 광학용 재료 등 첨단소재 분야에 사용되는 고부가 합성수지로 투명하면서도 충격과 열에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출시된 삼성전자 갤럭시S3 휴대폰의 Back 커버용 소재에도 제일모직이 생산하는 폴리카보네이트(PC) 소재가 전량 사용되고 있다. 상품기획 단계에서부터 소재 디자인 담당자와 엔지니어들이 개발에 함께 참여해 얇고 충격에 강한 고기능 특성을 실현시켰다.
이번 2공장 준공으로 제일모직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 원가 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익성을 제고하고, 고부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글로벌 시장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합성수지 최대 수요처인 중국의 PC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여서 휴대폰·자동차 소재 등 신제품 출시를 통한 고부가 시장 진입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주력으로 하는 사업구조 재편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제일모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매출은 지난 2007년 대비 2011년 2배로 늘어났고, 2013년에는 케미칼사업부 전체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품이 차지하는 매출비중을 25%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제일모직은 지난 2005년 멕시코 티후아나 지역에 미주 생산 거점을 확보한 이후, 2010년에는 중국 톈진에 생산법인을 설립했으며, 2011년에 헝가리에 EP공장을 준공함으로써 미국·독일·중국의 판매법인과 더불어 세계 주요 권역별 현지완결형 사업 체제를 구축해 왔다.
제일모직 박종우 사장은 이 날 준공식 기념사를 통해 “세계 석유화학 시장이 중국시장의 영향력 확대와 중동 업체의 급부상 등 경쟁 체제의 패러다임 전환기에 들어섰다”면서 “이번 증설을 통해 특화된 기술력으로 휴대폰, 자동차 소재 등 고부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시장을 적극 확대해 글로벌 플레이어로 자리매김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