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도훈 교수(왼쪽 두 번째)가 뇌종양 환자를 감마나이프로 치료하고 있다. [사진제공 = 서울아산병원] |
서울아산병원은 1990년부터 지금까지 감마나이프 치료를 받은 환자 6000명을 분석한 결과 전이성 뇌종양 등 악성 뇌종양 환자가 2342명(39%)로 가장 많았다고 2일 밝혔다.
악성 뇌종양에 대한 감마나이프의 치료 성공률도 91%로 높은 편이다.
청신경종양과 뇌수막종 등 양성 뇌종양 환자는 31.7%, 1899명를 차지했으며 치료 성공률은 93%에 달했다.
이밖에 뇌동맥정맥기형 등의 뇌혈관 질환이 24.3%, 1458명, 삼차신경통 및 간질 등이 5%, 301명으로 뒤를 이었다.
권도훈 서울아산병원 감마나이프센터 교수는 “감마나이프는 뇌혈관 기형과 뇌종양 수술을 넘어 이제는 삼차신경통의 치료 등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감마나이프 시술은 머리를 절개하지 않고 전신마취 없이 감마선을 사용해 뇌종양과 뇌혈관 기형 등의 뇌질환을 치료하는 방사선 요법으로 시술 후 감염이나 출혈 등의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시킨 게 특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