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현지시간)블룸버그 톰신에 따르면 당시 경제는 오히려 지금보다 더 어려웠다고 할 수 있지만 과거 두 차례에 걸친 양적완화 시행 결과 우려했던 물가 상승 압력은 없었다.
따라서 연준은 지금 물가 상승, 즉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감수하고 또 한 차례의 양적완화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게 블룸버그 통신의 요지다. 지난 7월 실업률은 8.3%로 전달보다 오히려 0.1%포인트 올라 42개월동안 8% 이하로 내려가지 않고 있어 더 이상 지켜볼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 연준에서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물가는 폭등하지 않았고 또한 경제도 확연히 좋아지지 않았다. 오히려 전문가들은 유로존의 재정위기와 부시 행정부 시절 과감하게 사용했던 세금 혜택이 끝나감에 따른 재정절벽을 걱정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다행히 아직도 1.2~1.7% 상승에서 그칠 것으로 연준은 보고 있다. 내년에도 높아야 2%다. 그나마 유로존 위기로 달러가 계속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물가 안정에는 크게 기여했다.
연준의 양적완화 등 경기부양책은 결국 물가를 크게 상승시킬 것이라고 계속 경고하고 있는 카네기 멜론대학의 알란 멜처 교수는 “앞으로 2년 안에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이라며 “현재 연준은 지난 1970년대 실수를 되풀이 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당시 연준은 과감하게 확장적 통화정책을 사용했고 결국 1980년대에 들어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단기금리를 20%나 상승시켜야 했다고 멜처교수는 지적했다. 지난 2008년 이후 연준이 경기부양을 위해 사용한 자금은 약 3조달러 수준이다.
이에 따라 연준이 당분간 양적완화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뉴욕 소재 토쿄-미츠비시 은행의 크리스 럽키 수석 재정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은 당장 나타나지는 않더라도 현재 경기가 팽창하고 있다고 보는 연준이 추가 부양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인들, 특히 공화당이 양적완화를 반대하고 있어 연준의 결정도 쉽지 않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덧붙였다. 지난 2008년 공화당 부통령 후보였던 새라 페일린은 2010년 “연준은 무(無)에서 돈을 찍어내 허공에다 뿌려대고 있다”며 “결국은 우리가 모두 부담해야 하는 채무”라고 비난했었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연준의 경기부양책 단행 확률이 낮다고 보는 주장도 적지 않다. 뉴욕 소재 크레딧스위세은행의 대나 사포타 이코노미스트는 “9월 연준 미팅에서 양적완화 시행 가능성은 50대50”이라고 관측했다. 사포타는 “아직까지 물가상승 우려가 현실화될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