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화보협회는 지난 2월 고영선 전(前) 이사장이 돌연 사임한 이후 6개월째 새 이사장 인선 작업을 마무리 짓지 못하고 있다.
고 전 이사장은 당시 임기 4개월여를 남겨두고 자리에서 물러난 뒤 교보생명 고문 자리를 꿰차 무책임하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신임 이사장 공모에는 이춘근 전 손해보험협회 부회장, 최성룡 전 소방방재청장, 이기영 전 LIG손해보험 사장 등 총 3명이 응모했으며, 이사장 추천위원회는 이 전 사장을 단독 후보로 선정했다.
그러나 금융당국이 사전에 이기영 전 사장을 신임 이사장으로 내정했다는 소문이 나돌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화보협회 이사장 선임 과정에 관여한 바 없으며, 이사장 추천위원회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화보협회는 오는 23일 사원총회를 열어 총 임기 3년의 신임 이사장을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화보협회를 둘러싼 이 같은 논란은 2000년대 들어 급격히 약화된 존재감과 맞물려 기관 존폐론을 양산하고 있다.
화보협회는 지난 1973년 소화시설 안전 점검과 소화설비 보험요율 할인등급 사정, 방재 컨설팅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됐다.
1990년대까지 화재예방을 비롯한 관련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화보협회의 위상은 2000년 이후 내리막을 걷기 시작했다.
화보협회의 안전점검 업무를 소방방재청 산하 기관과 보험사가 중복으로 맡아 역할이 크게 축소됐기 때문이다.
연간 약 200억여원에 달하는 예산도 화보협회의 기능을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일각에서는 화보협회의 업무 중 보험 본연의 기능을 각 보험사로 이관하고, 화재예방과 소화시설 조사 및 연구 등 공적 기능은 소방방재청과 통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화보협회의 경영을 손보협회와 통합하고, 방재연구원은 소방방재청 산하 기관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비슷한 맥락이다.
하지만 화보협회는 기관 고유의 역할과 수익 구조를 근거로 항간의 해체론을 일축하고 있다.
화보협회 관계자는 “화보협회는 다중이용업소에 대한 안전점검을 확대하는 등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며 “예산의 경우 손보업계로부터 일부를 지원받을 뿐, 대부분은 자체 수입으로 충당해 보험사들에게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