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은 가정 및 학교 등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내분비계장애물질에 관한 정보와 저감화 할 수 있는 생활 실천법 등을 알리기 위해 오는 27일부터 전국 순회교육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
내분비계장애물질이란, 환경에 존재하는 일부 화학 물질이 몸 안에서 인체 호르몬과 유사한 기능을 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환경호르몬을 말한다. 다이옥신류·프탈레이트류·비스페놀A·중금속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내분비계장애물질은 육류섭취 줄이기·손씻기 등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로도 충분히 예방 가능하다.
또한 뜨거운 음식을 담을 경우에는 가급적 유리·도자기제·금속제 등을 사용하고, 제품 구입시 성분·소재·원산지·사용법 등에 관한 표시사항과 안전 인증마크(KC마크)를 확인하는 생활습관이 필요하다.
이에 식약청은 임산부 400명·초등학생 600명 등 총 1000명을 대상으로 하는 이번 교육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정의와 종류 △내분비계장애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내분비계장애물질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생활실천 가이드 등의 내용을 애니메이션 동영상 강의를 통해 보다 쉽고 재미있게 설명할 예정이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번 교육이 임산부 및 어린이와 같은 취약계층의 유해물질에 대한 인지도 향상과 올바른 식·생활습관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계층별로 유용한 맞춤형 교육자료를 개발해 나갈 계획" 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