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이하 협력센터)가 발표한 ‘100대 기업 추석 전 하도급대금 조기 지급계획’에 따르면 10곳 중 8곳(79.1%, 응답업체 91개사 중 72개사)이 추석 전에 하도급대금을 조기 지급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76.9%보다 2.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들 72개 기업들의 지급규모는 총 4조 4737억원에 이른다.
최근 대기업들이 수출감소와 내수부진 등을 겪고 있음에도 협력사에게 하도급대금을 앞당겨 지급하겠다는 응답업체가 줄어들지 않은 점에 의미가 있다고 협력센터측은 설명했다.
하도급대금 지급수단으로는 현금이 80.1%(3조 5,832억원)로 가장 많았고 현금화가 가능한 기업구매카드 등 현금성 결제 19.0%(8,512억원), 어음 0.9%(393억원)의 순이었다.
삼성그룹의 8개 계열사는 당초 지급기일보다 최대 20일 앞당겨 6,720억원의 하도급대금을 100% 현금으로 주기로 했다.
현대자동차 그룹의 3개 계열사는 6,700억원을 전액 현금으로 조기 지급하는 한편, 납품대금을 조기에 받은 1차 협력사들이 2·3차 협력사들에게도 추석 전에 대금의 조기지급을 유도하기 위해 1차 협력사의 납품대금 지급실태 점검에도 나서기로 했다.
한편 추석 전에 하도급대금을 조기 지급할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19개사의 경우, 이미 하도급법상 지급기일인 60일보다 한 달 이상 빠른 평균 28.5일 이내에 납품대금을 지불하기 때문에 협력사의 자금수급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협력센터는 분석했다.
협력센터 이도영 연구원은 “대기업들이 추석전에 자금수요가 많은 협력사들에게 하도급대금을 앞당겨 지급하기 때문에 중소협력사들의 자금 숨통이 한층 트일 전망”이라면서 “대기업의 1차 협력사에 대한 조기지급이 2․3차 협력사에까지 확산될 수 있도록 중견·중소기업간에도 명절 전에 납품대금을 앞당겨 지급하는 풍토가 조성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