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현철 기자=2015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수도권고속철도(KTX)의 시·종착역이 서울 수서역으로 확정됐다. 서울시가 최근 이 문제를 놓고 국토해양부 등 중앙정부와 갈등을 빚어왔지만 결국 원래 계획대로 추진하게 됐다.
시 도시계획위원회 분과위원회는 26일 회의를 통해 ‘KTX 수서역에 대한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을 조건부로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KTX 수서역은 2014년 12월 완공될 예정이며 환승센터와 업무시설 건설 등 인근 역세권개발사업은 2018년까지 이어진다.
위원회는 개발제한구역 관리 원칙상 지하 주차장이 바람직하지만 장래 부지 이용을 고려해 지상주차장으로 건설하되 친환경 공법을 적용할 것을 주문했다.
주박(열차가 계류하는 곳) 기지는 지역단절, 주변 농지 현황 등을 고려해 상부가 주변 지표면과 단차가 없도록 평탄하게 조성토록 했다. 또 탄천 지하수위 등 때문에 부력방지앵커를 설치하도록 했다.
교통 흐름 개선을 위해 역사구간 이외 도로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토해양부와 협의해 밤고개길을 연장하는 내용도 담았다.
이밖에 탄천 수위를 고려해 현재 배수체계로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 펌프장 증설을 요구했다.
수도권 KTX 사업은 수서역에서 출발해 동탄역을 지나 현재 경부고속철도가 통과하는 평택지역에 접속시키는 사업이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이 3조9000억원을 투입해 2015년 개통을 목표로 2010년부터 추진해왔다. 현재 수서역을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시는 최근 삼성역 인근을 미래성장 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KTX를 삼성역까지 연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출발역을 삼성역으로 변경할 것을 국토부에 요청하면서 사업계획 변경 여부를 놓고 갈등을 빚어왔다.
이에 시 관계자는 “KTX 사업은 국가철도사업 중 최상위 위계를 갖는 사업이며 수서역은 개발제한구역에 있어 신중히 검토했을뿐 정치적인 의도로 지연시킨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또 수서역 건설은 인근 38만㎡ 지역의 대규모 역세권 개발사업이 전제되기도 해 국토해양부, 철도시설공단, 강남구와 수차례 협의과정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시는 KTX를 삼성역 및 이후 서울ㆍ경기 북부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국토부와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KTX를 연장하는 방안에 부정적이었던 시는 도시계획에서 철도의 중요성, 삼성역 일대의 다양한 민간제한 사업 등을 고려해 연장을 건의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비즈니스 목적 승객들이 많으므로 시·종착역을 미개발지인 수서역이 아니라 삼성역 등으로 직접 연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안건이 도계위를 통과함에 따라 예정대로 사업이 진행되면 서울 강남ㆍ강동권 및 경기 동남부 주민들의 교통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수도권 남부 및 동부권 주민들은 그동안 KTX를 타려면 서울역과 용산역, 광명역까지 이동해 불편함을 겪어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