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광저우, 고가주택 '판매제한령' 발표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주택 ‘구매제한령(限購令)’, 주택 ‘대출제한령(限貸令)’ 등 중국 내 집값 억제 정책이 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에서 중국 최초로 주택 ‘판매제한령(限售令)’을 발표했다. 중국 당국이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이제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주택 판매에도 제약을 가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 신징바오(新京報) 26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국토부동산관리국은 웹사이트를 통해 도심 내 집값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주택에 대해서는 판매를 제한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판매 제한 조치는 주로 분양규모 제한, 판매 억제 등에 집중된다.

광저우 당국은 “최근 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고가 아파트 거래가 급증해 전체 거래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며 이로 인해 광저우시 전체 평균 집값이 뛰어 시장에 (집값이 오른다는) 잘못된 기대를 심어줄 여지가 있다고 판단돼 이번 판매제한 조치를 내놓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중국 70개 도시집값 동향에 따르면 지난 1~7월까지 전달대비 줄곧 하락세를 보여왔던 광저우시 집값이 8월엔 전달 대비 0.3% 뛰었다.

이번 광저우시 주택판매 제한령을 둘러싸고 업계 내 의견은 분분하다. 특히 부동산 개발업체의 불만은 최고조에 달했다.

광저우 한 부동산개발업체는 “판매제한 조치는 집값 급등을 막기 위한 임시방편” “이는 오로지 (집값) 데이터 통계 수치를 낮추려는 게 목적일 뿐”이라고 비난했다. 상하이(上海) 이쥐(易居) 부동산연구원 양훙쉬(楊紅旭) 부원장은 “정부가 집값 반등의 원인을 부동산 개발업자로 돌리고 있다”며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땅값부터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광저우시의 주택판매 제한령은 꼭 필요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고가 아파트가 주로 도시 집값의 측량점이 되고 있다며 이는 소비자의 주택 구매심리에 영향을 미쳐 전체 지역 집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광저우시가 내놓은 주택판매 제한령이 다른 도시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베이징부동산협회 천즈(陣志) 비서장은 “베이징 집값은 전체적으로 안정적”이라며 “새로운 조치가 나타나진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