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화 추진 문제를 놓고 이한구 원내대표와 마찰을 빚었던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이 전날 업무를 재개한데 이어 안 위원장의 이같은 결정으로 인적쇄신을 둘러싼 당내 갈등 사태는 수습 국면에 들어갔다.
안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정치쇄신특위 회의를 주재하며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언제나 깨끗한 나라 깨끗한 정부를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당무라고 돼 있지만, 저희들은 쇄신위 업무를 한 번도 중단한 일이 없다”면서 “떠난 일도 없고 꾸준히 휴일도 불사하면서 일해 왔기 때문에 ‘복귀’라는 말은 부적절한 것 같다”고도 했다.
안 위원장은 민주통합당 한광옥 전 상임고문의 임명을 반대한 이유가 개인적인 ‘인연’ 때문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그와의 옛날 인연 때문에 과거 경력상에 문제가 있다고는 한 번도 말한 적이 없다”며 “그가 (당에) 와도 박 후보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 우리의 쇄신 업무와도 배치된다는 얘기를 한 것이지 개인적인 인연과는 상관없다”고 해명했다.
한 전 고문은 지난 2003년 9월 나라종금 퇴출저지 청탁과 함께 김호준 전 보성그룹 회장으로부터 1억1000만원을 받은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로 징역형을 받았으며, 당시 안 위원장은 대검 중수부장으로 당시 수사를 진두지휘한 바 있다.
전날 박근혜 후보와 전화통화 등을 통해 접촉한 것으로 알려진 그는 “후보와 (직접) 만남에 의미를 둘 이유는 없다”면서 “언제든 일정만 맞으면 만날 수 있고, 만났다 해서 의미를 둘 필요가 없다”면서 “중요한 것은 의사소통”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날 안 위원장은 “요구가 아니라 항상 건의 드리는 것이고 후보가 모든 것을 판단하는 것”이라며 다소 누그러진 입장을 드러내면서도 한 전 고문이 국민대통합 위원장을 맡게 되면 사퇴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는 점도 함께 밝혀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도 남겨뒀다.
이와 관련해 당내에선 박 후보가 국민대통합위원장직을 직접 맡고 한 전 대표가 신설되는 지역화합위원장이나 상임고문,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하는 ‘절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