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민식 새누리당(부산북구, 48) 의원은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서 “LG유플러스는 국내 통신 사업자 중 대리점간 조정 건수가 가장 많은 회사로서 무려 접수 비율이 50%가 넘는다”며 “LG유플러스의 영업은 폭력적 영업”이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LG유플러스는 대리점을 대상으로 강제 판매목표 할당, 강제 합의서 작성, 강제 권역조정을 통한 영업구역 강탈, 방통위 단속 정보 유출, 불법TM 강요를 시킨다고 지적했다.
그는 ”LG유플러스는 대리점 측에 부당한 판매목표와 강제할당, 손해영업 강요를 적게는 월 300개 많게는 1000개까지 할당한다“며 ”만에 하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시에는 대리점 해약조건에 들어가 피해를 본 대리점만 자그만치 200~300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또한 “실제 대리점에서 판매할 수 있는 물량의 5~10배 정도 많은 판매량이 LG유플러스 측으로부터 할당되고 있다"며 "대리점 측은 이로 인해 한 달에 억대에 달하는 손해를 보고 있다”고 박 의원은 설명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LG유플러스의 불공정 행위를 통해 피해를 본 대리점주들은 평균 30~50억 원의 손해를 입고 대리점 계약을 해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LG유플러스는 대리점들에 단속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불법으로 고객의 개인정보를 유출해 판매점에 불법TM을 하도록 강요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박 의원은 이날 공정위원장에게 ”LG유플러스의 불공정 행위에 대해 정밀한 재조사를 통해 사실여부를 조속히 밝혀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