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오남용 등에 의한 사망 22건 중, 2011년 2월 향정신성 의약품 지정 후 발생 건이 5건에 달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16일 국회 보건복지위 문정림 선진통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2년 간 국과수에서 부검한 프로포폴 관련 사망자는 총 44명이었다.
오남용으로 인한 사망자는 22명(50%), 수술 및 처치 중 프로포폴 관련 부작용으로 인한 사망 역시 22명(50%)이었다.
직업별로는 간호사·간호조무사가 9명(40.9%)으로 가장 많았고, 의사(6명,27.3%)·병원종사자(2명,9.1%)·주부(2명,9.1%)·주점 종업원(2명,9.1%)·직장인(1명,4.5%)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9명, 40.9%), 성별로는 여성(18명, 81.8%)의 비율이 높았다.
문 의원은 "총 사망자 44명 중 반수인 22명이 프로포폴 오남용 및 중독 등과 관련한 사망자인 상황에서, 지난해 향정신성의약품 지정 후에도 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것은 큰 문제" 라며 "프로포폴 중독에 대한 대국민 홍보방안을 포함, 근본적 대책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 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