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오상봉, http://iit.kita.net)은 국내 수출중소기업 132개사를 대상으로 ‘수출중소기업의 한류활용 마케팅 현황’실태 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중소기업들은 한류확산으로 한국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국가 브랜드 및 인지도 향상(응답업체의 57.0%)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55.7%)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발휘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약 60%의 기업이 현재는 한류가 제조업의 수출증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는 않다고 응답했지만 기업 및 제품 이미지 개선 후광효과(halo effect)를 통해 수출증대 효과가 향후 더 증가할 것이라는 대답이 54.3%를 차지했다.
한편 수출중소기업들은 자체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해외 마케팅 활동에서 한류를 직접 활용(8.6%)하는 비율은 낮지만 K-POP CD 배포, 한류 이미지의 포장 디자인 활용 등의 간접적인 방식을 통해 한류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활용사례를 보면, 섬유제품 수출업체인 A社의 경우 해외전시회 참가시 한류 이미지를 활용한 원단과 타올 제품을 전시해 바이어 및 내방객들의 많은 관심을 끌었으며, 식품회사인 B社는 한류스타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본인 중간유통상 200명을 초청한 홍보행사를 진행해 성과를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외국인들의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이미지는 아직 첨단제품(33.6%)과 중저가제품(29.6%)의 이미지가 혼재돼 있어 프리미엄급 이미지의 정착을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신뢰성 제고(48.8%)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위해 브랜드의 해외홍보(27.4%) 및 전시회에서의 노출확대(47.3%) 등을 통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기업들은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